국가/지역별 정보

국가/지역별 최신 공지사항, 여행경보, 현지연락처 등 각종 정보를 제공합니다.

Home 해외안전정보 국가/지역별 정보
프린트 하기

코스타리카(CostaRica)

중남미
코스타리카 국기
현지 한국대사관 바로가기

[대사관 연락처]

ㅇ 주소 : 400m norte y 200m oeste del Restaurante Rostipollos, Trejos Montealegre, San Rafael de Escazu, San Jose, Costa Rica
ㅇ 이메일 : koco@mofa.go.kr
ㅇ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506-2588-0852
ㅇ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82-2-3210-0404(외교부 영사콜센터)

[긴급상황시 현지 주요 연락처]

 ※한국에서 연락시 국가번호(+506) 입력 요망
ㅇ 응급의료 : 911
ㅇ 재난대응센터 : 911 또는 2210-2828
ㅇ 화재신고 : 911 또는 2547-3700(소방서)
ㅇ 범죄신고 : 911 또는 2586-4000(경찰서)
ㅇ 자동차 사고시 보험신고(가입 보험사 사전 확인 요망)
  - INS : 800-800-8000
  - Oceanica : 800-289-4546 
ㅇ 관광경찰 : 911 또는 2600-5133
  * 관광경찰(Policia Turistica) : 주요 관광지와 호텔에 배치되어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범죄 예방 및 대응 지원, 영어 통역 및 관광 관련 정보 전반 제공


[지역별 주요 병원 연락처]

 ※한국에서 연락시 국가번호(+506) 입력 요망
ㅇ 산호세(San José)
 - Hospital CIMA :2208-1000
 - Hospital México :2242-6700
ㅇ 알라후엘라(Alajuela)
 - Hospital Upala : 2470-0058
ㅇ 에레디아(Heredia)
 - Hospital San Vicente de Paúl : 2562-8100
ㅇ 카르타고(Cartago)
 - Hospital William Allen Taylor : 2558-1300
ㅇ 과나카스테(Guanacaste)
 - Hospital Enrique Baltodano Briceño : 2690-2300
ㅇ 리몬(Limón)
 - Hospital Tony Facio Castro : 2758-2222
ㅇ 위치 : 북위 10°, 동경 84°
ㅇ 수도 : 산호세(San José)
ㅇ 면적 : 51,100㎢ (한반도의 1/4)
ㅇ 언어 : 스페인어(주요 관광지 영어 사용 가능)
ㅇ 인구 : 약 515만명
ㅇ 인종 : 백인/메스티소 83.6%, 물라토/흑인 7.8%, 원주민 2.4%, 중국계 0.2% 등
ㅇ 종교 : 카톨릭(52%), 개신교(33%), 무교(16%) 등
ㅇ 시차 : 한국시간 –15
  - 예 : 코스타리카 09:00 = 한국 익일 00:00

[사건ㆍ사고 통계]

ㅇ 코스타리카는 중남미 역내에서 비교적 치안이 양호한 국가로 알려저왔으나, 최근 강력범죄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2024년 기준, ▲폭력강도 9,759건, ▲대인절도 14,966건, ▲주거침입절도 9,544건, ▲차량내절도 ▲3,179건, ▲차량강도 4,707건, ▲살인 880건
 - 2024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살인율은 16.6명으로 중남미 국가 중 8위 차지, 2022년의 12.5명 대비 약 37% 이상 증가


[유의해야할 지역]

ㅇ 절대적인 범죄 발생 건수는 인구가 집중된 산호세 광역수도권이 가장 많지만, 주요 관광지에서도 관광객 대상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ㅇ 산호세 광역수도권의 경우, ▲Carpio, ▲Sagrada Familia, ▲Rincon Grande, ▲Villa Esperanza, ▲Lomas del Rio 지역, ▲Tibas시의 Leon XIII, ▲Desamparados시의 Los Guido 등이 강절도 사건이 잦고 총격사건도 빈발하는 우범지역입니다.
ㅇ 북부태평양에 위치한 과나카스테(Guanacaste) 지방은 유명관광지가 많아, 관광객들을 상대로 한 절도 등의 범죄발생률이 높습니다.
ㅇ 최근 대서양 연안의 리몬(Limon) 지방, 태평양 연안의 푼타레나스(Puntarenas), 남동부 파나마 국경 인근의 해안 지방(Talamanca, Paso Canoas 지역)은 미국과 유럽에 판매되는 마약의 중개지로 부상, 강력사건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건ㆍ사고의 유형ㆍ대응]

ㅇ 범죄의 유형과 대상이 다양하고 예측이 어려우며 특히, 외모가 눈에 띄는 동양인들은 항상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습니다.
ㅇ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최근 마약 중개지로 부상하고 있고, 이로 인한 마약 매매/운반 범죄도 증가하고 있으니, 마약 매매 뿐만 아니라 마약 운반 등에도 연루되지 않도록 타인의 물품을 호의로 운반해주는 사례는 삼가시기 바랍니다.
ㅇ 생태관광으로 코스타리카를 찾는 우리국민의 입국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본인 부주의로 소지품을 분실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관광시 소지품을 부주의하게 옆에 두거나, 버스 선반 위에 가방을 올려둔 후 도난당하는 경우가 특히 많으니 보관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연재해]

ㅇ 코스타리카는 「불의 고리」라고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크고 작은 지진이 빈번하고 화산활동도 활발한 지역입니다.
  - 2024.10월, 주요 관광지인 타마린도(Tamarindo) 인근 해역에서 진도 6.2 지진 발생
  - 2025.4월, 주요 관광지인 포아스(Poas) 화산이 대규모로 분화
ㅇ 우기(5-11월)는 집중호우로 하천범람, 주택침수, 교량 등의 인프라 손실이 빈번이 발생하므로 주의가 요구됩니다.
ㅇ 뎅기열, 말라리아 등 열대지방 풍토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사례가 수시로 발생하므로 모기기피제 사용, 긴팔 옷 착용이 권장됩니다.
  - 2024년 기준 뎅기열 30,149건, 말라리아 232건 발생

[인사]

ㅇ 첫 인사는 오른손으로 악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친할 경우에는 오른손으로 악수를 하며 친근감의 표시로 왼손으로 상대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기도 합니다. 친분이 있는 남녀간 또는 여성간에는 오른뺨을 마주대면서 입술로 ‘쪽’하는 소리를 내는 인사를 하기도 합니다.
ㅇ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눈이 마주치면, 부정한 의도가 없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미소와 함께 가볍게 눈인사를 합니다.


[팁]

ㅇ 식당, 주점 등 서비스업장은 법률에 따라 부가가치세 13%에 더하여 봉사료(기타 세금이라고도 표현) 10%를 부과합니다(주문 전, 세금과 팁이 포함된 금액인지 사전 확인 권장)

[국제운전면허증 불인정 및 한국운전면허증 인정]

ㅇ 코스타리카는 제네바협약 미가입국으로, 국제운전면허증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ㅇ 한국운전면허증 소지자는 입국 후 90일 간 운전이 가능하며(운전시 여권 및 한국운전면허증 지참 필수), 코스타리카 운전면허증 취득을 위해서는 3개월 연속 현지에 거주하고 장기 체류 자격을 갖추어야 합니다.

[교통사고 발생시 대처방법]

ㅇ 즉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을 우선 확보하고 911 등 긴급연락처로 신고합니다.
ㅇ 가능하다면 비상용 삼각대를 차량 후방에 설치하는 등 2차 사고를 예방합니다.
ㅇ 가능다하면, 사고 발생 현장을 그대로 보존하고 경찰 및 보험사에 연락합니다(블랙박스 등 영상기록장치의 증거 효력 미인정).

[운전문화 및 도로사정]

ㅇ 교통법규를 잘 준수하지 않고 교통사고가 잦으며, 특히 오토바이의 갓길 운행이나 끼어들기로 인한 사고 발생이 빈발하므로 방어운전이 필수적입니다.
  - 코스타리카는 2023년 OECD 국가 중 교통사고 사망률 1위 기록
ㅇ 고속도로를 포함한 대부분의 도로가 왕복 2차선이며, 사고 및 고장으로 정차 중인 차량이 많습니다.
ㅇ 신호등 및 좌회선 신호가 없는 곳이 많고 ‘ALTO(멈춤)’ ‘CEDE(양보)’ 표시와 일방통행로가 많으므로 교차로 진입 및 통행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ㅇ 과속방지턱이 한국에 비해 높은 편이며 도로가 패인 곳(포트홀)이 많으므로 차체 및 타이어 손상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ㅇ 주소체계가 부실하므로 초행길이나 복잡한 지역은 출발전 GoogleMap을 검색하거나 스마트폰에서 Waze(네비게이션)앱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ㅇ 수도권 San Jose 지방의 경우, 상습 교통체증 지역(예를 들어 Circunvalacion(외곽순환도로))에 대해 주중 5부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1,2번으로 끝나는 차량은 월요일 운행 금지 등)


[대중교통]

ㅇ 버스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국제버스(파나마, 니카라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멕시코) 등이 있습니다.
ㅇ 코스타리카의 택시는 빨간색이며, 차체 상부에 TAXI 표시를 부착하고 측면에는 차량번호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길에서 직접 택시를 잡는 것보다는 호텔 또는 여행사로부터 전화예약 운송 업체를 소개받거나 우버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항공교통]

ㅇ 국제선은 알라후엘라(Alajuela) 지방에 Juan Santamaria 공항(산호세 국제공항(SJO)), 북서쪽 과타카스테(Guanacaste) 지방의 Liberia 공항, 카리브해 리몬 지역의 Limon 공항, 그리고 산호세(San Jose) 시내의 Pavas 지역에에 위치한 Tobias Bolanos 공항(니카라과ㆍ파나마 등 인접국 노선 및 국내선)이 있습니다.
ㅇ 국내선은 일반적으로 수도 산호세(San Jose) 기준으로, Tamarindo, Tambor, Quepos, Arenal 등지를 연결합니다.
ㅇ 간혹, 코스타리카 산호세 국제공항(SJO)과 지역명 및 공항코드가 유사한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의 미노타 산호세 국제공항(SJC)로 목적지를 혼동하는 경우가 발생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기후]

ㅇ 위도상 열대 지역에 위치해 있어 연교차는 크지 않으나 고도에 따라 기후가 열대와 온대로 나뉘어져 있으며 수도 산호세는 해발고도 1,172m에 위치하여 연중 21~29°c의 온화한 기후를 보입니다.
ㅇ 해발고도가 낮은 연안 지역은 주간 30도 이상, 야간 21도 이상의 기온을 보이며 높은 습도로 인해 체감온도는 더욱 높습니다.
ㅇ 연중 기후는 건기와 우기로 극명하게 나뉘며, 건기는 12-4월, 우기는 5-11월입니다. 우기에는 거의 예외없이 오전에는 맑지만 오후부터 밤까지 비가 많이 내립니다. 우기중 9~10월은 가장 비가 많이 오는 시기입니다.

[전기]

ㅇ 110V, 60Hz를 사용하며 접지 단자가 있는 콘센트 사용이 가능합니다(한국 제품은 110V용 연결 콘센트 필요).

[환전 및 환율]

ㅇ 대부분의 식당 ·상점에서 카드 및 미국 달러화 사용이 가능한바 현지화 환전은 최소한의 금액만 권장됩니다.
ㅇ 2025년 상반기 환율은 약 1꼴론(CRC) = 2.70원(KRW)로, 카드·환전 수수료 등 감안시 [꼴론화 표시가격 × 3 = 원화 가격]으로 계산하는 것이 용이합니다.
  - 물가가 매우 높은 편(2025년 빅맥지수 세계 7위 등)이며, 여타 관광국가와 달리 생활필수품·현지식당 등 모든 재화·서비스의 물가가 높은 것이 특징(한국의 약 2-3배 수준)
ㅇ 한국과 코스타리카는 사증면제협정이 체결되어 있어 코스타리카에 입국하는 우리 국민은 여권 종류와 관계없이 최대 90일 체류 가능합니다. 또한 2023.9.8.부터 코스타리카 정부는 관광 및 방문 목적으로 입국하는 경우 최대 180일 간의 체류를 허가하고 있습니다.
ㅇ 입국시, 원칙적으로 출국 항공권 소지 필요합니다.
ㅇ 현금 및 기타금융수단(여행자수표, 증권 등) 반입 한도는 USD 10,000 상당. 한도 초과 반입시 세관 신고 필요
ㅇ 코스타리카는 자국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해 엄격한 검역 및 위생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과일, 육류, 채소류 등 농산품 반입을 엄격히 금지
ㅇ 아래 국가에서 코스타리카에 입국할 경우 ‘황열병 예방접종 증명서’ 제시 필요
  ※ 황열병 백신 수급 문제 등으로 해당 정책은 수시로 변경 또는 잠정 중단되니 입국 시점의 규정은 코스타리카 보건부 공고 확인 또는 대사관 문의 요망
 - 예외 없음(전국) : 볼리비아, 브라질, 에콰도르, 가이아나, 프랑스령 기아나, 수리남, 베네수엘라, 앙골라, 베냉, 부키나파소, 부룬디,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공화국, 콩고 민주공화국, 아이보리 해안, 적도기니, 에티오피아, 프랑스령 기아나, 가봉, 감비아, 이기다, 기니, 기니비사우, 케냐, 라이베리아, 말리, 모리타니, 니제르, 나이지리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남수단 공화국, 르완다, 수단, 탄자니아, 토고, 우간다, 잠비아,
 - 예외 지역이 있는 국가(아래 도시로부터 입국시에는 예방 접종 불요) : 콜롬비아(바랑키야, 칼리, 카르타헤나, 메데인, 산안드레스 프로비덴시아, 보고타), 에콰도르(과야킬, 키토, 갈라파고스), 파라과이(시우다드 아순시온), 트리니다드 토바고(포르토프랭스 도시 지역)
  ※ 접종면제 조건 : 9개월 미만 유아, 달걀 알러지 보유자, 기타 면역계 질환자, 흉선 질환자 및 의사의 진단서상 다음과 같은 사유로 황열병 예방접종이 불가한 점이 인정된 자(60세 이상, 임신, 모유 수유, 황열병 백신 거부반응 가족력, 젤라틴 과민증 또는 에이즈 질환 등)
0404 TIP
여행전 목적지의 통합안전정보를 숙지하여 안전한 여행을 하시기 바랍니다.
해외안전지킴이 영사콜센터 24시간 연중무휴
[국내]02-3210-0404 ∥ [해외] 현지국가코드 +822-3210-0404